커뮤니티센터활동소식
센터활동소식

2023 한 뼘 더, 공익활동활성화 워크숍

2023-09-27
조회수 120

9월 26일(화) 강원도 춘천시에서 ‘2023 한뼘 더, 공익활동활성화 워크숍’을 하였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시민이 주도하는 활동과 혁신아이디어를 연결하여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고 있는 춘천 지역 사례 연구로 지역의 공익활동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진행하였습니다.

워크숍에는 공익활동가 및 평택시 협치회의 위원 등 20여명이 참석하였습니다.


 


워크숍 첫 순서로 지역역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혁신 공간인 커먼즈필드 춘천(춘천사회혁신센터)를 방문하여 주요 활동 사례를 듣고 공간 투어를 하였습니다.

 

❍ 박정환 춘천사회혁신센터장

 

춘천은 취약한 재정자립도와 지역쇠퇴 등으로 인해 도시경제 활력이 감소되고 있는 곳입니다.

반면 대학생이 5만 여명으로 춘천시 인구의 약 18%이고, 전국 기초단체 가장 살고 싶은 도시 중 하나로(한국갤럽 조사), 청년과 도시브랜드라는 잠재적 장점도 있는 곳입니다.

잠재 요인들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극대화하여 매력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한 혁신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커먼즈필드를 만들었습니다.

 커먼즈필드 춘천 은 지역의 변화를 만드는 소통과 협력의 혁신공간으로  시민이 주도하는 활동과 혁신아이디어를 연결하여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드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커먼즈필드 춘천 ⇒ 空間’ 이 아니라 ‘共間’

쓸모를 기다리는 빈 곳 이 아니라 함께 모여 관계를 만드는 곳입니다.

 

공간은 공동체가 만들어지는 기본으로 공동체는 공간안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만들어 나가고 활성화됩니다.

공동체의 활성화를 통해 연결은 강화되고 변화를 위한 사회적 자본과 네트워크가 커집니다.



    

 



이후 청년들의 창업을 지원하는 ‘근화동 396 청년창업공간’방문하여 주요 활동을 듣고, 창업공간에 입주한 공방의  핸드메이드 체험활동(마크라메와 제스모나이트) 을 하였습니다.

 

                                                           



❍ 조한솔 근화동396 청년창업지원센터장

 

근화동 396 청년창업공간은  5개의 대학에  다니고 있는 많은 대학생들이 지역에 정착하는 것을 돕고자 [춘천시 청년발전 지원조례]를 기반으로,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 철도유휴부지를 활용하여 2019년 11월 개소하였습니다.

 

근화동 396 청년창업공간은 지역의 창작과 창업을 혁신하는 열린 허브공간으로 청년들의 ‘창작 기반 창업’을 지원하는 곳입니다.

개별 창업공간, 창업 인큐베인딩, 창업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17곳이 창업공간에 입소하여 핸드메이드 판매상점 운영, 월 1회 근화동 396 핸드메이드 마켓, 남이섬 포레스트 마켓 참여 등 지역내 청년 창업가들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워크숍 참석자들은 춘천지역 사례를 탐방하며 시민들의 활동을 위한 공간의 역할의 중요성과 상호 협업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공익활동지원센터가 “앞으로 지역 사회 변화를 위해 시민들의 참여 공간과 활동을 지원하는 센터 역할을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의 공익활동가의 소통과 협력을 위한 활동을 노력했으면 좋겟다”는 소감을 나누었습니다.

                                                    

 

 

경기도 평택시 중앙로 260 산림조합 3층, 평택시공익활동지원센터   (우)17902 전화 : 031)658-0288    팩스 : 031)658-0292    이메일 : ptgongik2022@gmail.com Copyright © 평택시공익활동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
※ 평택시공익활동지원센터 홈페이지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Made ♡ Postree Studio